E-순환우수제품은 '전기전자제품의 자원순환성 평가방법'에 따라 사용 물질 저감,
환경 영향 요소 저감, 재활용 용이성, 해체 용이성, 회수 및 재활용 책임과 같은
5가지 카테고리 내 총 11개의 세부평가항목을 통해 전기전자제품의 자원순환성을
평가합니다.
* 상세한 평가방법 및 기준은 아래 다운로드 버튼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* 전기전자제품의 자원순환성 평가방법은 제1부를 기반하고 있으므로, 제1부와 해당제품군의 평가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* 제품군 평가방법 선택에 어려움이 있으실 경우, 제품군별 평가방법을 다운로드하여 ‘1. 적용범위’ 항목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.
번호 | 세부평가항목 | 평가 내용 | 평가 유형 | |
---|---|---|---|---|
서류평가 | 실물평가 | |||
1 | 분해 용이성 | 제품의 분해/해체 가능성을 평가한다. | ||
2 | 선별 용이성 | 제품의 파쇄/선별 용이성을 평가한다. | ||
3 | 플라스틱 재활용 용이성 | 플라스틱 재활용에 방해되는 요소에 대해 평가한다. | ||
4 | 재질 단순화 | 제품에 사용된 재질의 종류 수를 평가한다. | ||
5 | 재질 표기 | 사용 재질에 대한 정보 제공 용이성을 평가한다. | ||
6 | 재활용 가능률 | 제품의 잠재된 재활용 가능성을 평가한다. | ||
7 | 유해물질 저감 | 제품 내 유해물질의 사용량을 평가한다. | ||
8 | 저해물질 저감 | 제품의 폐기단계 시 환경에 영향을 주는 물질에 대해 평가한다. | ||
9 | 재활용 사업자를 위한 정보 제공 |
제품의 자원순환을 위한 정보의 용이성을 평가한다. | ||
10 | 소비자를 위한 정보 제공 | 제품의 폐기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 사항을 평가한다. | ||
11 | 재활용 원료 함유율(해당 시) | 제품의 재활용된 원료의 함유율을 평가한다. |